성경통독

성경통독

제목성경통독 23차: 레11-15장2025-01-24 21:58
작성자user icon Level 10

성경통독 23차: 레11-15장

레위기 11장: 정하고 부정한 동물들

[내용개요]

하나님의 백성이 된다는 것은 모든 면에서 세상과 구분이 되고 하나님의 명령이 모든 삶의 기준이 됨을 의미한다. 본장에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정결을 위해 가려야 할 음식에 관한 규례를 기록하고 있다. 짐승 중에는 되새김질하고 쪽발인 것만 먹어야 하고(1-8절), 어류 중에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것은 부정한 것으로 먹어서는 안 된다(9-12절). 또한 새와(13-19절) 곤충도(20-28절) 부정한 것과 정결한 것을 나누며 마지막으로 땅에 기는 것 중에 부정한 것을 나누고 있다(29-47절).

레1장에서부터 10장까지는 제사 제도와 제사직을 통해 사람들이 하나님께로 나아가는 길과 친교의 삶에 대하여 언급하였습니다. 그러나 본장에서부터 16장까지는 하나님과의 온전한 교제에 방해가 되는 요소, 곧 정함과 부정함에 관한 규례, 그리고 그것의 정결법을 구체적인 내용으로 담고 있습니다. 특히 본장에서는 동물 중에서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별하였습니다.


레위기 12장: 산모에 대한 결례

[내용개요]

본장에서는 해산한 산모에 관한 정결 규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자녀를 낳은 여자는 일정한 기간 동안 부정한 자로 간주되어 거룩한 것에 가까이 가지 못하였으나 그 후에 경제적 능력에 따라 속죄제를 드림으로 비로소 정결케 되었다.

레11장에서는 부정한 음식과 정한 음식에 관한 율법이 나왔습니다. 본장은 11장에 이어 정한 사람과 부정한 사람에 관한 율법이 나옵니다. 즉 레12장에서부터 15장까지의 말씀 가운데서 첫번째인 출산한 여인의 부정과 정결식에 관한 규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규례는 의식법상의 규례로서 당시의 문화적인 배경을 통해 영적인 정결 원리를 가르쳐 줍니다.


레위기 13장: 문둥병에 대한 진단법

[내용개요]

본장은 피부병에 관한 정결 규례를 다루고 있다. 특히 본장에서는 문둥병의 초기 증상 및 진단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그 방법으로는 피부에 생긴 색점으로 판단하거나(1-8절), 피부에 발생만 난육에 의해 진단하였다(9-17절). 또한 피부에 종기가 난 경우와(18-23절), 화상에 의해 피부가 불그스름하고 희게 된 경우에도 제사장이 문둥병인지 진단하였다(34-28절). 이외에도 머리나 수염에 이상이 생긴 경우(39-46절), 의복에 문둥병이 발생한 경우의 진단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47-59절).

레13-14장은 각종 문둥병으로 인한 부정의 제거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습니다. 본장에서는 문둥병의 초기 증상 및 그 증상에 따른 진단 방법이 자세하게 언급되고 있습니다. 즉 피부에 생긴 색점에 대한 진단법, 난육에 대한 진단법, 종기에 대한 진단법, 화상에 생긴 문둥병 진단법, 의복에 생긴 문둥병의 진단병 등입니다.


레위기 14장: 문둥병 환자가 정결케 되는 규례

[내용개요]

문둥병의 증상과 진단 방법을 다룬 전장에 이어 본장에서는 문둥병 환자에 대한 정결 규례를 언급하고 있다. 문둥병자가 정결하게 되었을 경우 제사장은 그의 나음을 선포하고(1-9절) 제팔일째 되는 날 회막문 앞에서 그를 위해 속건제와 소제, 번제를 드렸다. 이로써 문둥병 환자는 정결케 되어 공동체로 복귀할 수 있었다(10-32절). 이외에 집에 문둥병이 발생한 경우의 진단법과 정결 규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33-57절).

레13장에서는 문둥병을 진찰하였고 본장에서는 문둥병을 치료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즉 완치된 문둥병자의 정결 규례를 비롯하여 장차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정착하여 잘 때 가옥에 문둥병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레위기 15장: 유출병과 정결법

[내용개요]

본장은 유출병에 관한 정결 규례를 다루고 있다. 유출병은 남녀간의 성행위나 여자의 월경 등 생리적인 병리 현상으로, 본장에서는 네 가지 경우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첫째는 남자의 성기에서 발생하는 유출병(1-15절)과 둘째는 남자의 몽정이나 성 관계에 의한 설정(16-18절)이다. 셋째는 여자의 월경에 의한 유출(19-24절)과 특별히 월경 외에 생리 불순으로 인한 유출이다(25-33절). 본장에 나타난 유출병은 문둥병과 달리 전염성이 없으나 성적 문란을 방지하기 위해 규례로 정해 놓았다.

본장은 성에 대한 남자의 부정과 부인의 경도에 대한 부정을 기록하고 그것의 정결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본장은 유출의 종류로 남자의 성기에 생기는 유출병, 무의식적이거나 성교에 의한 설정, 여인의 월경, 이상 증세에 의한 여인의 유출병 등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리고 유출병으로 인한 부정을 정결케 하는 방법으로 옷을 빨고 물로 몸을 씻으라는 말씀이 여러 차례 나옵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